Skip to content

5주차 주간보고서

2025년 7월 14일 - 7월 18일

5주차는 그동안 학습한 내용을 종합하여 개인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마무리 주간이었습니다. 다마고치 게임 완성부터 시작해 개인 프로젝트 기획과 구현, 코드 리뷰, 그리고 Mac 개발 환경 심화 설정까지 진행하며 학생들이 독립적인 개발자로 성장하는 모습을 확인했습니다.

  • 다마고치 게임 완성
    • 게임 루프와 상태 관리 구현
    • ASCII 아트를 활용한 UI 제작
    • 저장/불러오기 기능 (직렬화 개념 도입)
    • 미니게임, 상점, 커스터마이징 등 창의적 기능 추가
  • 개인 프로젝트 기획
    • 5주간 학습 내용 활용한 프로젝트 주제 선정
    • 일정관리, 가계부, 단어장, RPG 게임, 운동 기록 앱 등
    • MVP(Minimum Viable Product) 개념 도입
    • Git 저장소 생성 및 README 작성
  • 프로젝트 발표 및 코드 리뷰
    • 중간 진행상황 발표 (5분씩)
    • 2인 1조 코드 리뷰 세션
    • 공통 문제점 파악 및 해결
      • 예외 처리 부족
      • 하드코딩된 값
      • 긴 메서드
      • 일관성 없는 네이밍
    • Clean Code 원칙 적용 리팩토링
  • Mac 개발 환경 고급 설정
    • 생산성 기능: Mission Control, Spotlight, 핫 코너, 트랙패드 제스처
    • Sidecar로 iPad 듀얼 모니터 활용 (학생들 반응 뜨거움)
    • 개발 도구 커스터마이징
      • Oh My Zsh
      • VS Code 확장
      • Alfred/Raycast
      • Rectangle (창 관리)
      • Karabiner-Elements (키보드 커스터마이징)
    • Git SSH 설정 및 GitHub 연동
  • Mac 개발 환경 전체 설정 (비기너 특별 세션)
    • 저녁 9시-11시 특별 수업
    • 새 맥북 수령자 대상 종합 설정
    • Homebrew 설치 및 패키지 관리
    • 필수 유틸리티 설치 (git, node, java, python)
    • 선택 도구 설치 (iTerm2, VS Code, Postman)
    • Gemini Cloud 활용한 AI 보조 문서화
  1. 스코프 조절 실패

    • 능력 대비 과도한 프로젝트 계획
    • 대응: MVP 개념 도입, 단계별 구현 가이드
  2. 코드 리뷰 부담감

    • 비판에 대한 두려움으로 소극적 참여
    • 대응: 긍정적 피드백 문화 조성, 개선점 중심 접근
  1. 직렬화 개념 이해

    • 객체를 파일로 저장하는 과정 혼란
    • 대응: 도식화와 단계별 설명
  2. Mac 터미널 명령어

    • 초보자들의 커맨드라인 거부감
    • 대응: GUI 대안 제시 후 점진적 CLI 유도
  3. 권한 오류

    • Homebrew 설치 시 권한 문제
    • 대응: sudo 사용법과 권한 개념 설명
  • 5주 전 “Hello World” 어려워하던 학생들이 완전한 애플리케이션 설계
  •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 발현
  • 자신감 있는 코드 작성과 발표
  • 경쟁보다 협력하는 분위기 형성
  • 서로 도우며 함께 성장하는 모습
  • 코드 리뷰를 통한 상호 학습
  • 저녁 늦은 시간 특별 세션에도 적극 참여
  • 주말 개인 프로젝트 진행 의지
  • 추가 학습 자료 요청 증가
  1. 종합적 개발 능력

    • UI, 상태 관리, 파일 I/O, 기본 동시성 등 통합 활용
    • 완성도 있는 애플리케이션 제작 능력
  2. 프로젝트 관리 역량

    • 현실적인 프로젝트 스코프 설정
    • 계획 수립 후 구현하는 체계적 접근
    • Git을 활용한 버전 관리 습관화
  3. 전문가적 실무 경험

    • 코드 리뷰와 리팩토링 경험
    • Clean Code 원칙 이해와 적용
    • 개발 환경 최적화 능력
  4. 자신감과 성취감

    • “나도 게임을 만들 수 있다!” - 실질적 성취
    • 독립적 문제 해결 능력 향상
    • 개발자로서의 정체성 형성
  1. 지속적 학습

    • 개인 프로젝트 완성 독려
    • 온라인 학습 플랫폼 활용
    • 오픈소스 프로젝트 참여
  2. 커뮤니티 활동

    • 스터디 그룹 구성
    • 개발자 커뮤니티 참여
    • 블로그나 GitHub 활동
  3. 심화 학습 방향

    • Spring Framework 학습
    • 데이터베이스와 SQL
    • REST API 개발
    • 클라우드 서비스 활용

5주간의 여정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었습니다. 프로그래밍을 전혀 모르던 학생들이 독립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설계하고 구현할 수 있는 개발자로 성장했습니다.

특히 마지막 주에 보여준 창의성과 문제 해결 능력은 기대 이상이었습니다. 단순히 문법을 아는 것을 넘어, 실제로 작동하는 프로그램을 만들고, 다른 사람의 코드를 리뷰하며, 개발 환경을 스스로 구축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무엇보다 학생들이 프로그래밍에 대한 자신감과 흥미를 갖게 되어,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 것이 가장 큰 성과입니다.


작성자: 김태희 (실습 강사)
작성일: 2025년 7월 2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