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ek-3-day-5-report주차 week-3-day-5-report일차 일일보고서
[3주차 5일] 오늘의 수업 이야기
Section titled “[3주차 5일] 오늘의 수업 이야기”날짜: 2025년 07월 04일
오늘의 주제
Section titled “오늘의 주제”보강 및 종합 복습 - 함께 가기 위한 시간
수업 진행 기록
Section titled “수업 진행 기록”금요일은 전체 보강의 날로 정했다. 3주차에 배운 객체 지향 개념들이 어려웠던 학생들이 있어, 처음부터 차근차근 다시 설명했다.
특히 Java의 엔트리포인트인 main 메서드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학생들이 있었다.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의 각 키워드가 왜 필요한지 하나씩 설명했다.
클래스와 객체의 관계를 다시 한 번 정리했다. 이번에는 “자동차 설계도와 실제 자동차”라는 새로운 비유를 사용했더니 이해하는 학생들이 더 늘었다.
캡슐화, 제네릭, 인터페이스를 모두 활용한 Todo 프로그램의 전체 구조를 함께 리뷰했다. 각 개념이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큰 그림을 그려주었다.
후반부에는 프로그래머스에서 간단한 문제들을 풀어보았다. 기초 문법 문제부터 시작해 조금씩 난이도를 높여갔다. 문제 해결 패턴을 익히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했다.
학습 속도가 느렸던 학생들이 “이제 좀 알 것 같다”며 자신감을 되찾는 모습이 보람있었다.
학생 상담 노트
Section titled “학생 상담 노트”- static이 뭔지 아직도 이해가 안 된다는 질문. 인스턴스와 무관하게 존재하는 것으로 설명.
- 언제 인터페이스를 만들어야 하는지 모르겠다는 고민. 여러 구현체가 필요할 때 고려하라고 조언.
- 프로그래머스 문제가 어렵다는 하소연. 쉬운 문제부터 많이 풀어보라고 격려.
- 집에서 복습하는 방법 문의. 배운 내용을 변형해서 새로운 프로그램 만들어보기 권장.
교육자 성찰
Section titled “교육자 성찰”전체적인 학습 수준이 상향 평준화되었다. 처음에는 격차가 컸지만, 지속적인 개별 지도와 보강으로 모두가 기본기를 갖추게 되었다.
객체 지향은 하루아침에 이해되는 개념이 아니다. 지속적인 실습과 경험이 필요하다. 학생들이 포기하지 않고 따라와 준 것이 감사하다.
3주차를 마무리하며, 이제 학생들이 “코드를 따라 치는” 단계에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생각하는” 단계로 넘어가고 있음을 느낀다.
- 4주차는 상속과 추상화 예정
- 주말 과제: Todo 프로그램에 새로운 기능 추가해보기
- 개별 학습 로드맵 작성 고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