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ek-3-day-1-report주차 week-3-day-1-report일차 일일보고서
[3주차 1일] 오늘의 수업 이야기
Section titled “[3주차 1일] 오늘의 수업 이야기”날짜: 2025년 06월 30일
오늘의 주제
Section titled “오늘의 주제”클래스와 객체 - 객체 지향의 첫걸음
수업 진행 기록
Section titled “수업 진행 기록”3주차가 시작되었다. 주 강사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의 개념을 설명할 때, “붕어빵 틀과 붕어빵”이라는 비유를 사용했다. 클래스가 틀이고 객체가 붕어빵이라는 설명에 학생들이 고개를 끄덕였다.
지금까지 절차적으로 작성했던 TODO 프로그램을 객체 지향적으로 재설계하기 시작했다. Todo 클래스를 만들고 제목(title), 완료 상태(isDone), 생성일자(createdAt)를 속성으로 정의했다.
처음에는 모든 변수를 public으로 선언했다. 학생들이 직접 todo.title = “새로운 할 일”처럼 접근할 수 있어 편하다고 느꼈지만, 이것이 나중에 문제가 될 수 있음을 암시했다.
new 키워드로 객체를 생성하는 것이 낯선 학생들이 많았다. “Todo todo = new Todo();“라는 문장을 이해하는 데 시간이 걸렸다. 변수 선언과 객체 생성을 구분해서 설명했다.
ArrayList
학생 상담 노트
Section titled “학생 상담 노트”- 클래스와 객체의 차이를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 설계도와 실제 건물의 비유로 추가 설명.
- new 키워드의 역할에 대한 질문. 메모리에 공간을 할당하고 객체를 생성하는 과정 설명.
- 왜 클래스를 만들어야 하는지 의문. 데이터와 기능을 묶어서 관리하는 장점 설명.
- 생성자가 없는데 어떻게 객체가 만들어지는지 질문. 기본 생성자의 개념 소개.
교육자 성찰
Section titled “교육자 성찰”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은 패러다임의 전환이다. 절차적 사고에 익숙한 학생들에게는 큰 도전이다. 하지만 실제 프로젝트를 통해 배우니 이해가 빠른 것 같다.
public 필드의 문제점은 내일 캡슐화를 배우면서 자연스럽게 깨닫게 될 것이다. 먼저 문제를 경험하고 해결책을 배우는 순서가 효과적이다.
클래스 설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좋은 설계가 좋은 프로그램의 시작이다.
- 클래스 다이어그램 그리는 방법 소개 필요
- 생성자 개념은 곧 도입 예정
- 객체 지향 설계 원칙 자료 준비